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딥러닝
- 코딩
- 숫자형
- JAVA Script
- 파이썬
- 자바
- Numpy
- 자바스크립트
- 게임개발
- docker
- javascript
- jquery
- unity
- 문자열
- STR
- 객체
- Python
- 제이쿼리
- 선형대수학
- js
- 도커
- 코딩연습
- 메소드
- 라이브러리
- 유니티
- Coding
- if문
- object
- 코딩학습
- 코딩공부
- Today
- Total
목록Coding (40)
잇뉴얼 (IT_Manual)

[Python] 파이썬 리스트 (List)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면 변수도 많이지게 되어서 코드를 작성하는데 많이 힘들어지게 되는데요.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해줄수는것이 바로 리스트(List)와 딕셔너리(Dictionary)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스트(List)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리스트 (List) _list = [1,2,3,4,5] _list_str_num = [1,2,'str',3,'python'] # 다양한 자료형을 한번에 넣을수 있다. _list_2 = [1,2,3,[4,5]] # 2차원 배열 _list_3 = list() # _list_3 = [] 와 같은 의미 _list_4 = list(range(0,10)) # 0 ..

[Python] 파이썬 문자열 다루는 방법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하고 쌍따옴표 ("")나 따옴표 ('')안에 어떤 값들을 넣고 변수에 할당을 하면, 해당 변수는 문자열이 됩니다. 쌍따옴표 ("")나 따옴표 ('')안에 숫자가 들어가든, 기호가 들어가든, 문자열로 만들어줄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문자열'을 어떻게 요리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변수를 문자열로 선언 str1 = "I am " str2 = 'string' print(str1 + str2) # 결과 # I am string str1의 변수는 쌍따옴표 ("")안에 데이터를 넣었으며, str2의 변수에는 따옴표 ('')안에 데이터를 넣었습니다. 이 두개의 변수는 모드 '문자열'로 선언이 되었는데요. 문자열의 경우 숫자형..

[Python] 파이썬 변수 선언과 자료형 코딩학습을 처음 시작한다면, 꼭 알아야될 과정중 하나! 바로! 변수 선언 방법과 선언한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을 해야됩니다. 파이썬도 예외는 아닌데요. 그렇지만, 파이썬은 변수 선언하는 방법이 너무나도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변수 선언과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변수 선언 a = 1# a라는 변수를 선언한 다음, 1이라는 값으로 초기화 print(a) # print()는 소괄호'()'안의 코드를 화면으로 출력해줍니다. b = a# a 변수를 선언했기 때문에 b변수에 'a'라는 값을 넣는것이 아닌, a변수 안에 있는 '1'의 값을 넣는다. print(b) a = 2 print(a,b) # 결과물 # 1 # 1 # 2 1 다른 언어를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배열 (Array) 배열은 많은 수의 같은 타입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변수에 할당하여 관리하기 좋도록 하는 데이터 타입인데요. 객체랑은 다르게, 속성은 가지고 있지 않고, 데이터들이 순서대로 저장하는데, 이 배열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열의 선언 const arr1 = new Array(1,2,3,4,5) const arr2 = [1,2,3,4,5] console.log(arr1) console.log(arr2) // 터미널 결과 출력 // [1,2,3,4,5] // [1,2,3,4,5] 배열은 선언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하나는 객체를 선언하듯이 'new'키워드 작성한 다음 'Array(데이터1, 데이터2, ... )'를 작성해주시면 되며, 아니면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클래스와 객체 본격적인 코드를 작성하면 많이 드는 단어가 '클래스'와 '객체'입니다. 저는 공부를 하면서 많이 헷갈린부분이 '함수가 있는데 굳히 클래스가 필요한건가?' 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객체와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객체 (Object) const name = 'ITnual' const age = 20 const country = 'korea' 변수를 선언하는건 가장 쉽습니다. 'let'이나 'const'(상수)를 작성하고, 변수 이름을 선언한 다음, 값을 넣어 초기화를 해주면 됩니다. 허나, 관련된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표현할 필요가 생깁니다. 예를들면, 어떤 사람의 이름이나, 나이, 국가 같은 데이터를 묶어서 표현하는것이 아닌, 따로따..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함수 선언과 호출 코드들의 집합을 '함수'라고 합니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것 처럼, 함수안에도 코드를 작성해놓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데요.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과 호출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 함수 선언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들...) { // 이 함수에서 실행할 코드들 작성 return 반환값 } 함수 구성 설명 함수명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단, 예약어로 지정된 이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매개변수들 함수 밖에서 함수안으로 특정 값을 넣고 싶을때 사용 코드 함수 안에 다양한 코드를 작성해 원하는 결과값을 만들어냄 return 코드가 다 끝나고 함수를 호출한곳에 값을 보내주는 역할 함수를 선언할려면, 'function'으로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반복문 프로그램안에,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일을 하나하나 코드로 작성하기에는 너무 오래걸릴수가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코드를 실행해야될 경우, '반복문'을 이용하면, 코드가 좀 더 간결해질껍니다. ▶ for 문 for (초기 변수; 조건식; 증감식) { 반복한 코드 작성 } for 문0 설명 예시 초기 변수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 let i = 0; 조건식 for문이 작동하는 조건 지정 i < 10; 증감식 변수 증가 혹은 감소 (잘못 작성하면 무한루프[무한반복]에 빠질수 있음) i++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i} 번째 코드를 실행합니다.`) } // console...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조건문 프로그램을 코딩할때 일방통행처럼 하나만 실행하는게 아니라, 여러 조건에 따라 그 조건에 맞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들경우가 많습니다. 여러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가 바로 '조건문'인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건문'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if 문 let num = 1 if (num === 1) { console.log(`이 값은 ${num} 값이 맞습니다.`) // 조건이 맞으므로 코드 실행 } if (num === 2) { console.log(`이 값은 ${num} 값이 맞습니다.`) // 조건이 맞지 않으므로 코드 실행 X } ' if ' 말 그래도 '만일'이라는 뜻으로, '()'괄호안의 조건이 맞을 경우,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해서 결과값을 반환하는 역할이 바로 '연산자' ▶ 문자열 붙이기 '+'를 이용한 문자열 붙이기 let str1 = "Hello" let str2 = "javaScript" result = str1 + " " + str2 console.log(result) console.log("Hello"+"JavaScript") '+'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붙일수 있습니다. 변수에 문자열을 넣은 다음, '+'로 붙일수도 있고, 문자열을 바로 붙일수도 있습니다. 백틱(`)을 사용하는 템플릿 리터럴 (Template literals) let str = "javaScript" console.log(`${str} 백틱을 사용한 템플릿 리터럴`) // consol..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타입 변수를 선언할때, 'let','const'키워드로 선언을 하지만, 할당되는 값에 따라 데이터 타입이 달라지는데요. 데이터 타입중 기본형 또는 원시형 (primitive) 타입이라 불리는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에 대해 한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 number - 숫자 데이터 let num = 7 console.log(num) console.log(typeof(num)) // typeof - 해당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let'키워드로 'num'변수를 선언한 다음, 해당 변수에 '7'숫자를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console.log'로 값을 출력하면 당연히 '7'이라는 숫자가 출력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