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뉴얼 (IT_Manual)
[Python] 파이썬 변수 선언과 자료형 본문
[Python] 파이썬 변수 선언과 자료형
코딩학습을 처음 시작한다면, 꼭 알아야될 과정중 하나! 바로! 변수 선언 방법과 선언한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을 해야됩니다. 파이썬도 예외는 아닌데요. 그렇지만, 파이썬은 변수 선언하는 방법이 너무나도 간단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변수 선언과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변수 선언
a = 1 # a라는 변수를 선언한 다음, 1이라는 값으로 초기화
print(a) # print()는 소괄호'()'안의 코드를 화면으로 출력해줍니다.
b = a # a 변수를 선언했기 때문에 b변수에 'a'라는 값을 넣는것이 아닌, a변수 안에 있는 '1'의 값을 넣는다.
print(b)
a = 2
print(a,b)
# 결과물
# 1
# 1
# 2 1
다른 언어를 공부해보신분들이라면, 파이썬의 변수 선언은 굉장히 간단하고 쉽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나 데이터타입을 작성할 필요없이, 변수명을 작성하고, 그 변수명안에 값을 대입하면 끝이기 때문이죠. 변수를 선언하면 끝이 아닙니다. 변수를 선언하면, 해당 변수가 어떤 자료형인지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 파이썬의 자료형
a = 1
b = 1.5
c = True # d = False
print(type(a)) # type()은 소괄호'()'안의 코드에 대해 어떤 자료형인지 확인을 해준다.
print(type(b))
print(type(c))
# 결과
# <class 'int'>
# <class 'float'>
# <class 'bool'>
위의 코드에서 'a,b,c'라는 변수명을 작성한 다음, 각각 다른 값들을 넣었습니다. 그리고 자료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print(type())'을 사용하여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결과를 보게되면, 다른 결과를 출력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이 결과들이 해당 변수의 어떤 자료형이다 라는걸 알려주는데요. 파이썬에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숫자형 자료형 - int, float
a = 10 # int (정수형)
b = 5 # int (정수형)
c = 7.5 # float (실수형)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 결과
# 15
# 5
# 2.0
# 50
숫자는 크게 2가지로 알 수 있습니다. 정수와 실수인데요. 이전 코드의 결과를 보게 되면 "<class 'int'>"와 "<class 'float'>"를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의 의미는 '정수(int)'와 '실수(float)'를 의미합니다. '정수'는 소수점이 없는 양수,0,음수, 그리고 '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위의 결과를 보면, '2.0'이라는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건 어떤 자료형일까요?
a = 10 # int
b = 5 # int
c = 7.5 # float
print(a+b, type(a+b))
print(a+c, type(a+c))
print(a-b, type(a-b))
print(a-c, type(a-c))
print(a/b, type(a/b))
print(a/c, type(a/c))
print(a*b, type(a*b))
print(a*c, type(a*c))
# 결과
# 15 <class 'int'>
# 17.5 <class 'float'>
# 5 <class 'int'>
# 2.5 <class 'float'>
# 2.0 <class 'float'>
# 1.3333333333333333 <class 'float'>
# 50 <class 'int'>
# 75.0 <class 'float'>
변수 'a,b,c'의 값은 각각 'int, int, float'형으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칙연산으로 계산을 하면, 결과 값에 따라 자료형이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나누기를 하게 될 경우 '실수 (float)' 자료형으로 만들어지니 이 점은 참고하세요~
참고 - 나머지와 거듭제곱 계산방법
a = 10
b = 3
print(a%b) # 나머지 구하는 공식
print(a**b) # 거듭제곱 구하는 공식
# 결과
# 1
# 1000
Bool 자료형 - True / False
a = True # true로 작성하면 에러
b = False # false로 작성하면 에러
print(type(a))
print(type(b))
# 결과
# <class 'bool'>
# <class 'bool'>
'Bool 자료형'은 참인지 거짓인지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 이 자료형은 나중에 배우게될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에서 쓰이게 되며, '조건문'에서도 많이 쓰이게 될껍니다. 자세히는 알지 말고, 이런게 있다 정도의 간단하게 예시를 보죠.
# 비교연산자
print(1 < 5) # 1은 5보다 작으므로 참인 True
print(5 < 1) # 5는 1보다 작지 않으므로 False
# 논리연산자
a = True
b = False
print(a and b) # a,b 둘 다 True이면, True | a,b 중 하나라도 False이면 False
print(a or b) # a,b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 | a,b 둘다 False이면 False
# 결과
# True
# False
# False
# True
위의 코드를 해석하면, 맨위의 '비교연산자'의 경우 1은 5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True'로 결과를 처리하며, 그 아래의 코드 '5 < 1'의 비교는 틀린 비교이기 때문에 'False'로 결과를 처리합니다. 그리고 아래쪽을 보면 '논리연산자'가 있는데요. 논리연산자의 경우, 'and'는 두 변수가 'True'일 경우, 'True'의 결과를 내어주고, 둘 중 하나라도 'False'일 경우, 'False'로 결과를 보여줍니다. 'or'은 두 변수중 하나라도 'True'일 경우 'True'의 결과를 내어주고, 둘 다 'False'일 경우 'False'로 결과를 보여줍니다. 자세한건 나중에 더 알아보도록 합시다!
'Cod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리스트 (List) (0) | 2022.06.02 |
---|---|
[Python] 파이썬 문자열 다루는 방법 (0) | 2022.06.02 |
[Python] 파이썬 자료형 - 문자형(String)[2] - 문자열 연산 [+ , * , len(문자열 길이)] (0) | 2022.05.01 |
[Python] 파이썬 자료형 - 문자형(String) (0) | 2022.05.01 |
[Python]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Number) (0) | 2022.05.01 |